계산기를 실질적으로 사용하면서 가장먼저 중요하게 확인해야 하는 사항은 mode라고 생각됩니다. mode는 내가 어떠한 작업을 계산기로 할 것인가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 하여야 합니다. 그럼 위에서 부터 차근차근 설명 하겠습니다.
■ 먼저 f1, f2, f3 을 눌러서 한칸한칸 내려가지 않고 원하는 페이지로 쉽게 넘거갈 수있습니다.
가장먼저 Graph 설정 입니다.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을 결정하고 이는 Graph를 그리는 방법의 변화를 가져오고 또는 해당 함수의 정의를 할 수 있게 해 줍니다.
■ Function (기본함수)
함수를 y1(x) 로 다루기 위한 설정 입니다. y는 x만의 함수로 정의 됩니다.
ex) y1= x^3 + 3x + 2
■ PARAMETRIC (매개변수 함수)
f{x(t),y(t)} 와 같이 t를 매개변수로 가지는 x와 y의 함수로 함수를 표현 할 수 있습니다.
ex) x1 = 3t^2 + 3 y1 = t
■ POLAR ( 극함수 )
r1(Θ) 와 같이 POLAR AXIS 를 사용하는 함수를 표현 할 수 있다.
ex) r1= cos(3Θ)
■ sequence (수열)
수열을 그릴수 있게 해 준다.
ex ) 4000 + sigma(8n^2 + 3n)
(n은 1부터 n까지 이라면/ n 값과 증분 값은 window 설정을 통해 가능)
u1 = 8*u1^2 + 3*u1
ui1 = 4000
■ 3D
3차원 그래프를 그릴 수 있게 해 준다. z1(x,y)
ex) z1 = x^2 + cos(y)
■ Diff Equations (미분 방정식의 해를 그려 준다.)
ex) y1'=0.1y1 * (100-y1) yi1= 초기조건 (x=0 에서의)
주의 할 것은 미분 한 y1' 에 대한 그래프가 아니라 y1' 의 해에 해당하는 y1의 그래프를 그려주고 초기 값이 없을 경우에 방향장만을 그려 준다.
■ Current Folder
기본 폴더로 사용할 위치를 지정하게 됩니다. 만약 기본 폴더를 main으로 설정 해 놓았다면 main 기본적으로 변수 선언, 리스트 선언, matrix 선언 등을 하게 되면 이 main 폴더안에 생성되게 되요 또한 main폴더 안에 만들어 놓은 프로그램이나 함수들은 정의해둔 이름만으로 실행/ 불러오기가 가능하답니다.
만약 contacts 폴더안에 gauss() 라는 프로그램을 작성해서 저장 해 놓았고 Current Folder 는 main 으로 지정되어 있다면 계산기 상에서 gauss()프로그램을 실행 시키기 위해서는 contacts/gauss() 와 같이 실행해야 하지만 gauss() 프로그램이 main 폴더 안에 저장되어 있다면 단지 gauss() 라는 명령 만으로도 실행 할 수 있습니다.
■ Display Digits
유동소숫점과 고정소숫점으로 출력 결과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.
모두 유동소숫점과 고정소숫점에 대해서 아시겠지만 간략한 설명을 첨부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고정 소숫점은 소숫점 아래 지정한 숫자만큼만 표현하고 반올림 합니다. 숫자가 너무 커져서 표현하기 곤란 한 경우에는 fix3으로 지정되어 있으면 8.435 E28 이런식으로 표현해 줍니다.
유동 소숫점은 유효숫자의 개수 만큼만 남기고 나머지 뒤 부부은 모두 반올림 처리 합니다. 602.456... 이 결과 값이고 float3 으로 지정되어 있다면 604. 으로 표현 합니다.
■ Display Digits
각도를 radian, degree, gradian 으로 설정 할 수 있습니다.
■ Exponential format
Nomal, Scientific, Engineering 3가지로 표현 가능하고 결과값을 지수로 표현하는 양식을 설정하게 됩니다.
Normal의 경우는 숫자가 계산기가 표현 할 수 있는 수의 크기를 넘어 섰을 경우 지수로 표현 방법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보여 줍니다.
Scientific 의 경우는 *.****.. E* 과 같이 일의자리 숫자와 소숫점 자리 수와 지수값을 이용하여 수를 표현해 줍니다.
Engineering의 경우는 공학에서 사용되는 단위에 맞추어 E(...-6, -3, 0, 3, 6...)의 지수를 사용하여 표현해 줍니다.
■ Complex format
real 모드에서는 어떤 계산의 결과물이 복소수의 형태로 나왔을 경우 Non-real result 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표현이 안됩니다.
Rectangular 모드에서는 실수부와 허수부를 나누어 표현해 줍니다. ex) 3+4i
Polar 모드로 복소수를 표현 합니다. ex) 3+4i ==> (5 ∠ 53.1301)
■ Vector format
Rectangular 모드에서는 i, j, k 방향 벡터의요소로 벡터를 표현 합니다. ex) [3 ; 4 ; 5]
Cylindrical 모드에서는 i,j 벡터를 polar형식으로 표시하고 k 벡터를 추가적으로 표현 하는 방법으로 벡터를 표현 한다. [1 ; 2 ; 5 ] ==> [ 2.2361 ; ∠63.4349 ; 5 ]
Spherical 모드에서는 마찬가지로 i j 벡터를 polar형식으로 표시하고 추가적으로 z축과 이루는 각을 표현해 낸다. ex) [1 ; 2 ; 5 ] ==> [5.4772 ; ∠63.4349 ; ∠24.094 ]
■ Pretty print
예쁘게 프린트 해 줍니다? ^^; 위쪽이 ON 상태 아래쪽이 OFF 상태 입니다.
■ Split Screen
어플리케이션을 화면에 표시할 방법을 설정 합니다.
■ Split 1 App , Split 2 App 분할된 화면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 합니다.
■ Exact / Approx
소숫점을 이용 근사치로 결과를 표현할지 분수를 이용하여 Exact 하게 표현할 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■ base (bin :2진수 hex : 16진수 dec : 10진수 )
※ 주의 : 만약 Exact/Approx 설정에서 Approximate 로 설정이 되어 있다면 표현이 그냥 10진수로 표현 되거나 또는 Error가 발생 합니다.
출력값을 10진수 2진수 16진수로 선택하여 출력 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소숫점 아래 자리는 10진수로 밖에 표현해 내지 못합니다. 인터넷 상에서 찾아 보시면 소숫점 이하 자리까지 변환해 주는 프로그램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
추가적으로==> 숫자 + [2nd] + [math] + [base] + [▶Bin] or [▶HEX] 를 통해서 모드 변경을 하지 않은 상태로 16진수나 2진수로 수를 표현 할 수도 있습니다.
또한 수의 앞에 2진수의 표현을 위해서는 0b 16진수를 위해서는 0h를 붙여 주시면 됩니다.
ex)
dec모드에서 => 0b10 + 0hf + 10 = 27
hex 모드에서 => 0b10 + 0hf + 10 = 0h1B
bin 모드에서 => 0b10 + 0hf + 10 = 0b11011
■ Unit System
기본 단위를 SI 단위와 ENG/US 단위중 선택 하실 수 있습니다. 단위를 지정 하셨을때 선택하신 단위로 변환되어 출력 됩니다.
다음 예는 SI 단위로 설정되어 있을때의 출력 예제들 입니다.
(단위는: [2nd] + [UNITS] 를 통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.)

또는 다음과 같이 ▶기호를 이용하여 ( [2ND] + [MODE] ) 원하는 단위로 결과를 볼수도 있습니다.
온도의 변환의 경우 tmpcnv(100_℉, _℃)와 같은 형식을 이용하시면 됩니다.
■ Language 언어를 설정 합니다.
■ Apps desktop : Apps desktop 사용 여부를 설정 합니다.